졸업 후 진로
고분자나노공학과는 반도체/IT, 자동차, 에너지, 환경, 석유화학 등 전분야에서 원재료/화학 업체, 부품소재 업체에서 종합세트업체에 이르기 까지 모든 산업체와 정부출연연구기관, 공사, 공무원 등의 공공기관으로 진출이 가능하다. 다양한 분야에서 본인의 적성에 따라 연구개발, 생산/공정 관리, 품질관리, 기획 및 마케팅, 기술영업 등의 직무를 수행하게 된다.
산업 진출 분야
| 분류 | 산업군 | 
|---|---|
| 고분자/석유화학 | 기초화학 재료, 합성수지 섬유, 고무 필름 | 
| 정밀화학 분야 | 접착제, 도료, 코팅, 화장품, 염료, 계면활성제 | 
| 신소재 관련 분야 | 디스플레이, 반도체, IT, 제철, 에너지/환경, 자동차용 유기소재 | 
| 생명공학 | 의공학, 바이오센서, 제약, 생분해성 플라스틱 | 
소재 관련 유망 기술 및 제품군
| 분야 | 유망 기술 및 제품군 | 
|---|---|
| 에너지/환경 | 이차전지 소재, 슈퍼커패시터 소재, 연료전지 소재, 분리막/필터 | 
| 반도체/IT | 포토레지스트, 반도체 패키징 소재, 압전/열전 소재, 플렉시블 기판 | 
| 나노기술 | 그래핀, 탄소나노튜브, 자기조립, 나노복합소재, 나노기공 소재 | 
| 생명공학 | 약물전달시스템 소재, 생분해성 고분자, 인공 피부/장기, 봉합사, 인공조직체 | 
| 산업소재 | 엔지니어링 플라스틱, 융복합소재, 발포소재, 기능성 코팅 | 
| 미래소재 | 3D 프린팅 소재, 자극 감응형 소재, 자가 치유 소재 | 
업체별 관련 직무
| 분류 | 유관 산업 | 관련 직무 | 
|---|---|---|
| 종합 세트 업체 | 반도체, 디스플레이, 자동차 등의 완성품 | 부품소재 아웃소싱 및 평가, 품질관리 및 불량 분석, 소재 적용 공정 개발, 마케팅 및 기획 | 
| 부품/소재 업체 | 반도체, 디스플레이, 자동차 등의 부품소재 | 소재 연구개발, 생산/공정 관리, 품질 관리, 영업 및 Technical service, 기술기획 | 
| 원재료/화학 업체 | 석유화학, 정밀화학 | 합성 전문가, 품질관리, 생산공정 관리 | 
| 공공기관 | 연구소, 공사, 공무원 | 연구원, 기술직 공무원 | 
관련 자격증
- 화학분석기사
 - 공업화학기사
 - 위험물산업기사
 - 화공기사
 - 섬유기사
 - 섬유기술사
 - 화학류제조기사
 - 가스기사
 - 수질환경산업기사
 - 폐기물처리기사
 - 토양환경기사
 - 산업안전기사
 - 기술지도사(화공 섬유)